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레슬링 일기] 맞잡기_1
    라이프스타일 인포데스크/취미 운동 정보 2020. 4. 21. 11:46

    가장 기본적인 움직임인 정면태클(더블렉 태클)을 어느정도 연습하면 점차 우리의 코치님들은 잡는 법을 다양하게 해서 태클을 들어가기를 주문하기 시작한다. 그렇다 이제부터 진정으로 레슬링의 시작인 '맞잡기'이다. '맞잡기'는 말 그대로 선수들이 서로를 잡아 제압하는 것을 말한다. 남자들끼리 싸움 이야기를 할때 자주 등장하는 유머 중 하나는 '레슬링 선수랑 싸우면 한번 잡히면 절대 놓지 않아 잡히면 그대로 끝' 이란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UFC의 하빕만 봐도 별거 없이(.... 은 아니고 솔직히 다 잘하는듯...) 상대방에게 툭툭 다가가 다리를 잡든 몸을 잡든 확 잡고 넘어뜨리고 거기에서 게임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렇듯 레슬링에서 잡기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고 레슬링을 가장 레슬링답게 만들어주는 움직임이다.

     

    코치님 ㅋㅋ 왜이러는거에요 ㅋㅋㅋ

    잡기의 기본으로 레슬러들이 자주 잡는 3군데를 집중적으로 배운다. 바로 1. 손목 2. 팔뚝 3. 목(뒷통수) 이다. 손목과 목은 인간이 가장 약한 부분으로 잡히면 쉽게 휘둘릴 수 있는 곳이다. 상대의 가장 약한 곳을 잡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이해가 갔다. 그렇다면 팔뚝은? 팔뚝, 특히 안쪽의 이두근이나 바깥의 삼두근이나 차이는 있지만 여튼 팔뚝을 잡고 많은 기술을 들어간다. 하지만 손목과 목과는 다르게 팔뚝은 굉장히 강한 부위다. 오죽하면 남자들이 힘자랑을 할때 팔뚝에 힘주면서 근육 자랑을 할까. 그런 부위를 잡아도 상대를 쉽게 제압하기 어렵다. 물론 팔뚝을 잡고 걷어내 공간을 만들기는 하지만 뭔가 잡는다는 개념보다는 뿌리친다는 느낌이 들어 잡기에 팔뚝이 들어가는게 한동안 미스테리로 남았다.

     

    이런 수수께기는 <맞잡기>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 그리고 레슬링의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면서 조금씩 풀리기 시작했다. 잡기는 단순히 상대를 잡아 가두는데 있지 않고 상대를 움직이는데 그 본질이 있다. 흔히 잡는다고 하면 상대를 잡고 가만히 멈추게 하려고 한다. 하지만 사람이 사람을 내 마음대로 한다는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생각하면 상대를 멈추게 하는건 불가능하다. 나 스스로도 통제가 안되는데 하물며 상대방, 그것도 운동도 많이해서 힘도 좋고 성질도 드러운 상대를 내맘대로 한다는 건 불가능을 떠나 이기적인 것이다. 

     

    항상 레슬링은 잡기부터 시작한다

     

    레슬링은 나의 의지로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다. 근데 그 과정은 이기적일 수 없다. 오히려 상대를 이해해야 한다. 상대를 관찰하고 상대의 움직임을 느끼며 상대의 생각을 읽어내야 겨우 상대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틈이 벌어진다. 정말 찰나와도 같은 이 틈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수많은 맞잡기를 통해 상대를 알아내려고 노력한다. 맞잡기는 그렇게 상대를 알아내는 레슬러의 방법이다. 맞잡기는 상대를 잡아 가두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이해하기 위해 건네는 우리의 노력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위해 잡기는 두가지의 조건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1. 관찰

    2. 끝없는 움직임

     

    그렇기 때문에 맞잡기와 맞물려서 일어나는 행위는 '관찰(觀)'이다. 모든 운동이 다 그러하겠지만 매우 빠른 스피드 속에서 진행된다. 레슬링은 순간적인 스피드가 매우 폭발적인 운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순간적인 판단력과 순발력, 빠른 움직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그 이전에 맞잡기를 통해 상대를 알고 상대를 내가 원하는 곳으로 이끌어내야한다. 그런 후에야 빠른 움직임도, 순간적인 판단력도 빛을 발할 수 있다. 잡는 과정을 통해 상대와 나의 움직임을 명민하게 바라보고 이해한다는 것, 그것이 레슬링의 시작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수들은 잡아보기만 해도 상대가 어느 수준인지 감을 잡을 수 있다. 상대를 이해하기 위해 수없이 건넨 그 잡기 속에서 상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선수들은 잡아만 봐도 감을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잡기와 관찰은 항상 같이 갈수밖에 없다

     

    이렇게 상대를 이해하면서 동시에  잡기는 동적이어야 한다. 레슬러들이 잡으면 놓지지 않는다는 건 레슬러들의 힘과 악력이 좋은 것도 물론 있겠지만 그 이전에 상대를 잘 이해해서 상대의 움직임에 맞춰 자신도 움직이기 때문에 떨쳐내기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맞잡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악력과 팔힘도 중요하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하체와 스텝이다. 하체의 탄탄하고 빠른 기동력이 뒷받침 되어야 상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상대를 잡을 수 있다. 레슬러들의 잡기는 항상 움직임이 따라온다. 그래서 레슬러는 맞잡기 위해서 힘을 키우고 체력을 키우고 빨라지기 위해 노력한다. 

     

    위의 두조건을 채우는 잡기가 비로서 떨쳐낼수 없는 '레슬러의 맞잡기'이다. 근데 저 두가지의 관찰과 움직임이 가장 잘 일어나는 상황은 내가 가장 편안한 상황이다. 두려움과 공포에 질린 사람이 상황을 볼 수 있고 또 움직일 수 있을까? 그렇기 때문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레슬러는 가장 먼저 자신을 잡아야 한다. 상대를 맞잡기 위해서는 나의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벌렁거리는 내 심장을 먼저 잡아야한다. 내 정신을 잡고 내 영혼을 잡아야한다. 스스로를 잡아두지 못하는 사람은 상대를 결국 잡아내지 못한다.

     

    상대의 손목을 잡는 것은 떨리는 내 두다리를 잡는 행위이고 상대의 팔뚝을 잡는 것은 혼란스러운 내 정신을 잡는 행위고 상대의 목을 잡는 것은 약해진 나의 의지를 되잡는 행위다. 이것이 레슬러의 맞잡기이다.

     

    사실 말은 번지르르 하지만 아직까지도 나는 잡아도 모르겠다. 다만 잡는다는 행위가 무엇일까를 생각해보니 어느정도 감이 오기 시작했을 뿐이다. 하지만 이제 조금 레슬링 입문의 문턱을 지나고 있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입장에서 맞잡기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특히 30대 내 마음대로 된 건 거의 없는 이 구질구질한 인생 속에서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게 당연한 것이라는 점을 배운다. 그리고 상황을 잡기 위해서 먼저 자신을 다잡아야한다는 가장 기본을 레슬링에서 배운다. 그리고 조금 더 나은 내일을 위해서 내 나름대로 열심히 세상을 잡으려 힘내본다.

     

     

     

     

Designed by Tistory.